커뮤니티

연구논문

  • HOME - 커뮤니티 - 연구논문
게시물 보기
3천만 단어로는 부족하다.
등록일 2017-12-28 조회수 2268

 

부모의 사회,경제적 격차에 따라 자녀의 3살까지 언어능력과 이후 학업 성적까지 차이가 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 차이는 사회 경제적 격차에 따른 부모가 제공하는 언어의 양보다는 부모와의 상호작용의 질이 더 영향을 많이 미친다고 제안합니다.
 
, 부모가 아이에게 말하는 절대적인 양이 아이의 언어발달에 불충분한 요인으로, 이 연구에서는 아이의 언어 능력 발달에는 부모가 사용하는 단어들과 문장의 문법적 다양성, 복잡성이 더 중요하다고 합니다.
Pacific Standard 2015. 6.
 
3천만 단어. 저소득 가정과 고소득 가정의 아이들이 3세가 되었을 때의 언어 자극의 차이이다. 대개는 이 차이로 언어 발달과 향후 학업 성취를 사회경제적 불평등으로 설명해왔다. 언어 학습은 일차적으로 양적인 측면이 필요한 건 맞다. 하지만 최근에는 언어 처리의 효율성이 아이의 미래 학교 성적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고, 많은 연구에서 아이가 어른으로부터 듣는 언어의 질이 언어 유능성(처리 효율성)을 가장 잘 예언하는 지표라고 주장한다. 발달 심리학자인Betty Hart Todd Risley(2002)는 어린 아이들의 양육 환경을 평가하는데 가장 중요한 측면은 순간순간 끊이지 않고 진행되는 대화의 양 이라고 말한다.
 
3만 단어의 차이를 말하는 것처럼 그 동안 저소득과 중산층 가정의 대화 양에 있어 큰 차이가 있다는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어 왔다. 이런 연구들은 단순히 부모와 아이와의 대화 시간의 양을 증가시켜야 한다는 방향을 제시해 왔다. 그러나 심리학자 Kathy Hirsh-Pasek는 적절한 환경만 제공해주면, 저소득 아이들도 성공적인 언어 학습자가 될 수 있고, 실제로 되지만, 언어 입력 양이 언어 발달의 차이를 설명하는데 불충분하다고 말한다. 그들은 최근 미국 심리과학지에 양적 요인과 질적 요인 모두 아이의 언어 기술에 영향을 주고, 단어와 문법의 다양성과 복잡성이라는 두 질적인 변인이 더 중요한 잠재 변인이 될 수 있다고 발표했다.
 
Hirsh-Pasek과 그 동료들은 자신의 이론을 검증하기 위해 국립 아동 보건 국민 건강 연구소 프로젝트의 일부분으로 수집된 자료 가운데 2개월 영아들과 그 어머니 60쌍의 대화 장면 비디오를 분석했다. 이 상호작용 장면에서, 연구자들은 놀이 중 상호작용을 포함해서 언어의 유창성과 연결성, 놀이 과정과 같은 의사소통의 질적인 신호들을 탐색하고 엄마들의 분당 발화 단어 수를 계산했다. 그렇게 1년 후 표준화 된 표현 언어 검사 도구를 통해 아이들의 말하기 능력을 평가했다.
연구팀은 표현 언어 능력은 드러난 단어의 양보다 부모-아이 간의 상호작용 질과 더 많은 관계가 있다는 결과를 발견했다. 엄마의 언어 양은 아이의 표현 언어에 어느 정도의 수준 차이를 가져온다는 것이 드러났으나, 의사소통의 질이 훨씬 큰 통계적 설명력을 얻었다. 게다가 양적 요인의 설명력이 얼마이건, 질적 요인을 제거하면 양적 요인의 효과는 사라졌다.
Hirsh-Pasek과 동료들은 논문에서 “충분히 많은 말을 듣는 것은 물론 언어 발달에 중요하다. 하지만, 말소리의 양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초기 양육자와 아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아이의 언어가 어떻게 통합되는지 간과하는 것이다.”라고 논평하며, 의사소통의 질에 대한 본 연구와 다른 연구들은 연구자들이 언어 발달을 더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적절한 양육환경이 제공되기만 하면, 저소득 아이들도 성공적인 언어 학습자가 될 수 있고, 그렇게 됩니다.
참고문헌: Hirsh-Pasek, K., Adamson, L., Owen, R., Golinkoff, R., Pace, A.,  Yust, P., Suma, K. (2015). The Contribution of Early Communication Quality to Low-Income Childrens Language Success. Psychological Science, 0956797615581493.
 
 
 
 
 
 
 
 
 
 
 
 
 
 
 
 

 

 

이전글 18개월의 어휘 처리의 개인차가 유아기 어휘력 발달을 예언한다
다음글 영유아 교사의 반응성 상호작용 증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김정미,정빛나(2016)